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환경연합 "더 큰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원전가동 중단후 전면적 점검과 노후원전 폐쇄, 신규원전 건설 중지하라"

서울의소리 | 기사입력 2016/09/13 [13:08]

환경연합 "더 큰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원전가동 중단후 전면적 점검과 노후원전 폐쇄, 신규원전 건설 중지하라"

서울의소리 | 입력 : 2016/09/13 [13:08]

환경운동연합은 12일 경주 지진보다 더 큰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가동중인 원전 중단후 전면적 점검, 노후원전 폐쇄, 신규원전 건설 중지 등 국가비상사태에 준하는 대응을 촉구하고 나섰다.

환경운동연합은 경주지진과 관련한 성명을 통해 , "월성원전으로부터 27킬로미터 가량 떨어진 곳"이라며 "진앙지가 월성원전과 거리가 떨어져 있고 월성원전 내진설계가 지진가속도 0.2g(지진규모 6.5)이므로 원전에 직접적인 피해는 아직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윤종오 의원실에 따르면 월성원전 1호기에 전달된 최대지반가속도가 0.098g로 수동정지 설정치(0.1g)에 근접했다"고 사태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실제로 한국수력원자력은 성명이 나온 직후 경주의 월성원전 1~4호기 가동을 수동정지시켰다. 한수원은 메뉴엘에 따른 것이라고 밝혀, 월성원전에 가해진 충격이 수동정지 설정치를 넘어선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낳고 있다. 

 

한반도 동남부일대 주요 활성단층대와 지진 진앙지, 원전 위치도


환경연합은 "이번 지진은 구마모토 지진 이후에 울산앞바다에 발생한 뒤 더 큰 지진으로 내륙의 활성단층대에서 지진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라며 "구마모토 지진의 에너지가 한반도 동남부 일대의 활성단층대를 자극해서 더 큰 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추가 대지진을 우려했다. 

환경연합은 특히 "당장 원전의 내진설계 이하의 지진발생이라고 안심할 수만 없는 상황"이라며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수력원자력(주)는 단순히 원전안전에 이상이 없다는 말 대신 각 원전의 점검에 들어가야 한다. 원전의 내진설계가 아니라 실제 어느 정도의 지진을 견디는지 평가를 해야 한다. 내진설계는 설계일 뿐이며 시공과는 다른 문제다. 내진설계 평가에는 설비의 노후화를 반영하지 않았으므로 오래된 원전일수록 내진설계를 신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환경연합은 "역사지진기록으로 1643년에 한반도 동남부 일대에 진도 7~7.3의 지진이 기록되었기 때문"이라며 "진앙지에서는 훨씬 더 큰 지진일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처럼 큰 규모의 지진이 자주 일어나지는 않아도 드물지만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기록이 있다"며 373년 전에 동남부에서 진도 7 규모의 강진이 발생한 기록이 있음을 상기시켰다. 

환경연합은 이어 "최근 논문에서는 한반도 최대지진 규모는 7.45±0.04라고 평가했다.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말이다"라면서 "최소 규모 7~7.5이상의 지진을 견딜 수 있는 대비를 해야 한다. 그리고 더 이상의 위험을 늘려서는 안된다. 신규원전을 취소하고 노후원전을 폐쇄해서 원전을 줄여나가는 것만이 안전에 대비하는 최선의 길"이라고 전면적 원전정책 수정을 촉구했다.

환경연합 등 국내 83개 단체로 구성된 '핵없는사회를위한공동행동'은 13일 오전 광화문 원자력안전위원회 앞에서 긴급기자회견을 갖고 핵발전소 안전대책 요구, 노후핵발전소 폐쇄 및 신규핵발전소 건설 중단을 촉구할 예정이다.

 

이래는 환경운동연합 성명서 전문,

 

(성명서) 지진공포에 빠진 대한민국

활성단층대에 심상치 않은 지진 계속 발생 원전 안전성 전면 점검하라

 

오늘(12일) 저녁 7시 44분 리히터 규모 5.1을 시작으로 여진이 계속되더니 8시 32분에는 규모 5.8가량의 지진이 다시 발생했다. 여진은 22회가 발생했다고 한다. 지진발생지역은 경주시 남서쪽 9킬로미터로 두 진앙지는 1킬로미터 차이라고 한다. 월성원전으로부터 27킬로미터 가량 떨어진 곳이다.

 

진앙지가 월성원전과 거리가 떨어져 있고 월성원전 내진설계가 지진가속도 0.2g(지진규모 6.5)이므로 원전에 직접적인 피해는 아직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윤종오 의원실에 따르면 월성원전 1호기에 전달된 최대지반가속도가 0.098g로 수동정지 설정치(0.1g)에 근접했다. 지진의 진행경과는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라서 당장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해서 원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진앙지가 활성단층대인 양산단층대로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첫 번째 지진의 진앙지는 양산단층대 부근인데 두 번째 지진은 양산단층대와 일치한다.

 

또한, 이번 지진은 구마모토 지진 이후에 울산앞바다에 발생한 뒤 더 큰 지진으로 내륙의 활성단층대에서 지진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구마모토 지진의 에너지가 한반도 동남부 일대의 활성단층대를 자극해서 더 큰 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당장 원전의 내진설계 이하의 지진발생이라고 안심할 수만 없는 상황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수력원자력(주)는 단순히 원전안전에 이상이 없다는 말 대신 각 원전의 점검에 들어가야 한다. 원전의 내진설계가 아니라 실제 어느 정도의 지진을 견디는지 평가를 해야 한다. 내진설계는 설계일 뿐이며 시공과는 다른 문제다.

 

내진설계 평가에는 설비의 노후화를 반영하지 않았으므로 오래된 원전일수록 내진설계를 신뢰하기 어렵다. 가동 중인 원전을 중단하고 전면적인 점검에 들어가야 한다.

 

지난 울산지진 발생이후 더 큰 지진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를 일축한 이들이 있었지만 오늘 역대 최대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앞으로도 이번 지진보다 더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역사지진기록으로 1643년에 한반도 동남부 일대에 진도 7~7.3의 지진이 기록되었기 때문이다. 진앙지에서는 훨씬 더 큰 지진일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처럼 큰 규모의 지진이 자주 일어나지는 않아도 드물지만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기록이 있다.

 

최근 논문에서는 한반도 최대지진 규모는 7.45±0.04라고 평가했다.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말이다. 최소 규모 7~7.5이상의 지진을 견딜 수 있는 대비를 해야 한다. 그리고 더 이상의 위험을 늘려서는 안된다. 신규원전을 취소하고 노후원전을 폐쇄해서 원전을 줄여나가는 것만이 안전에 대비하는 최선의 길이다.

 

2016년 9월 12일

환경운동연합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PHOTO
1/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