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노인의 날'에 되돌아 보는 어르신 건강관리

적게먹고 운동하는 어르신 '치매 걱정' 잊어버리고 산다

서울의소리 | 기사입력 2018/10/03 [09:23]

'노인의 날'에 되돌아 보는 어르신 건강관리

적게먹고 운동하는 어르신 '치매 걱정' 잊어버리고 산다

서울의소리 | 입력 : 2018/10/03 [09:23]

65세이상 10%가 치매.. 비만관리·뇌운동이 최선의 예방책

 

어제는 1997년 처음 제정된 스물두 번째 맞는 노인의 날로 원래는 국제연합이 1991년 지정한 10월 1일 '국제 노인의 날'에 맞추려했으나, 우리나라 '국군의 날'과 겹침에 따라 그 다음날인 10월 2일을 기념일로 정하였다.


노인의 사전적 정의는 "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이고, 노인복지법 제39조 9항에서는 '누구든지 65세 이상의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다. 정작 65세 이상 노인에게 노인의 기준이 되는 나이는 언제인가에 대해 물었더니 응답자의 85% 이상은 70세 이상이 노인이라고 답했다. 100세 시대 운운하는 요즘에 65세를 노인이라고 정의하는 데는 대부분 동의하지 않는 분위기다.

 

노인이 되면 노화 현상 탓에 신체적ㆍ정신적으로 여기저기 탈이 나고 질병이 생긴다. 이 중 노인이 가장 걱정하는 병은 바로 치매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치매 환자는 72만5000명(유병률 10.2%)이나 된다.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를 앓고 있다는 뜻이다.

 

‘사람을 과거에 가두는 병’이라고 불리는 치매는 한번 발병하면 거의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하다. 아직까지 뚜렷한 원인과 치료법이 밝혀지지 않아 더 무서운 병이다. 이에 대해 몸과 마음(정신)은 따로 뗄 수 없으므로 몸 관리에 힘쓰기 위해 항상 운동하고, 부정적이기보다 긍정적 목표를 세우고 살아가는 것이 치매를 예방하고 건강한 노년기를 보낼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전문의들은 입을 모은다.

 

저절로 또는 혈관이 막혀 신경세포가 죽으면 치매 발생

 

나이가 들면 기억력이 감퇴할 수 밖에 없다. 뇌기능은 한창 왕성하게 가족을 늘려 가고, 일을 하는 청년과 중ㆍ장년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년의 뇌에는 지혜와 경험이 담겨 있다. 젊은 사람 못지않게 열정과 희망도 있다. 80세에도 외국어 공부를 시작할 수 있는 이유다.

 

물론 뇌 속 기억력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집중력, 방향 감각, 언어 능력, 판단력, 이해력, 계산 능력, 기억력 등등이 중요한 뇌기능이 나이 들면서 조금씩 떨어진다. 그렇다고 다 치매는 아니다. 김성윤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뇌기능이 떨어져 일상생활 기능을 잘못하게 되면 그제야 ‘치매’라고 진단하게 된다”며 “이때 치매가 왜 왔는지 원인을 밝히기 위해 여러 검사를 하게 된다”고 했다.

 

치매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알려져 있다. 우선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저절로 신경세포들이 죽어 치매가 생긴다. 이들 세포가 왜 죽는지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김 교수는 “알츠하이머병(치매)에서는 기억력 담당 세포들이 자꾸 죽고, 전두엽 치매에서는 판단력과 의욕을 담당하는 전두엽(이마) 신경세포들이 자꾸 죽는다”며 “반면 파킨슨병은 운동 담당 세포들이 저절로 죽는 병이다. 처음에는 손 떨림, 보행장애 등만 생기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 신경세포가 더 많이 죽으면 치매까지 오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혈관성 질환이다, 신경세포는 혈액 공급을 통해 영양분(포도당)과 산소를 공급받는다. 때문에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공급이 잘 안되면 신경세포는 죽을 수 밖에 없다. 김 교수는 “심장혈관이 막히면 심근경색, 뇌혈관이 막히면 뇌경색이며, 뇌세포가 죽으면 치매가 생긴다”며 “어느 혈관이 막혔는지에 따라 기억력 저하, 방향 감각 저하, 판단력 저하 등 증세가 달라진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 비만, 운동 부족, 흡연 등이 위험요인”이라고 했다.

 

산에 올라가 운동 기구에서 운동하고 있는 한 노인. [연합뉴스]


“배고프고 몸 놀려야 치매 예방하고 정신도 건강”

 

치매 치료에는 약, 신체 운동, 뇌 운동, 이 ‘삼박자’가 맞아야 한다. 비만을 줄이고, 꾸준히 운동하고, 건강한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다리가 아프고 허리가 아파 노인은 운동하기 쉽지 않다. 다행히도 걷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운동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매일 하루 30분 걸어도 큰 효과를 본다. 의자에 앉아 다리를 폈다 굽혔다 하는 것, TV를 보면서도 목, 어깨, 허리를 계속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된다.

 

뇌 운동은 바로 사회생활이다. 뉴스를 보고, 신문을 읽고, 메모를 하고, 일기를 쓰고, 책을 읽고, 모임에 나가고, 다른사람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고, 놀러 다니고, 공연을 보고, 새로운 것을 배우려는 시도, 이런 모든 것이 뇌 운동이다. 김 교수는 “TV 시청, 라디오 청취 같은 수동적 뇌 운동보다 일기 쓰기, 한문이나 컴퓨터 배우기, 여행 등 적극적 뇌 운동이 뇌세포를 더 많이 자극한다”고 했다.

 

때문에 정상적 노화에서 오는 인지기능의 저하를 줄이고 치매 예방에 도움을 주려면 무언가 끊임없이 배우는 것이 좋다.

 

조아랑 강동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최근에는 평생교육이 활성화되면서 복지관, 노인학교 등에서 다양한 배울 거리, 오락, 취미 활동을 제공하고 있다”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배우는 과정 자체에서 뇌의 인지기능이 긍정적 자극을 받게 된다”고 했다.

 

스트레스를 줄이고 관리하며 적당한 영양 섭취를 해 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조 교수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같은 만성 질환은 합병증이 발생하면 인지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며 “신체 질환의 관리와 조절에 최선을 다하면서 흡연, 음주 같은 위험요인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김교수는 “몸이 편해지면 뇌가 쉬게 된다. 먹이를 구하려 고생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라며 “쉬는 뇌는 쓰지 않기 때문에 쪼그라들지만, 반대로 몸을 계속 움직이면 뇌가 활동을 한다”고 했다. 이어 “배고픈 채로 몸을 움직이면 뇌는 더 많이 활발해져 뇌가 커지게 된다. 이는 동물 실험에서도 입증돼 있다”며 “먹이를 적게 먹은 쥐가 더 똑똑하고, 더 오래 사는 것처럼 치매 예방과 정신 건강 행복의 비결은 바로 ‘배고프고 몸 놀리는 것’에 있다”고 했다.

 

'노인의 날'은 전통적 풍속인 경로효친 사상을 고취시키고, 전통 문화를 계승·발전시켜 온 노인들의 노고를 치하하며, 근래 주요 사회문제로 떠오른 노인문제에 대해 돌아보는 날이다. 늙어서도 일을 그만 두지 못하는 빈곤한 노인이 많은 서글픈 현실과 틀딱으로 비하되는 노인들의 처지가 경로효친 사상을 무색하게 만드는 요즘 이런 노인들을 위한 맞춤 일자리와 건강관리등 사회와 가족들의 따뜻한 관심이 더욱 필요할 때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PHOTO
1/193
문화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