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정치 글, 옥도경 사령관,이 前 단장 작품강압적으로 정치글을 달도록 지시, 응하지 않은 요원들은 인사 상 불이익국군 사이버사령부 심리전단 김모 전 과장은 2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정치 글'은 옥도경 사이버사령관과 사이버심리전단 이모 전 단장의 작품"이라고 폭로했다.고 국민일보가 단독 보도했다.
이로서 국군 사이버사령부 심리전단 김모 전 과장의 폭로로 국방부의 사이버사령부 '정치 글' 사건에 대한 부실·축소 수사 흔적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국민일보에 따르면 국군 사이버사령부 심리전단 요원들이 정치 글을 작성해 인터넷에 올리는 과정에서 내부 반발 등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김 전 과장은 이모 전 사이버심리전단 단장이 요원들에게 강압적으로 정치글을 달도록 지시했고, 이에 응하지 않은 요원들에 대해서는 인사 상 불이익을 줬다고 폭로했다. 김 전 과장은 심리전단 업무를 총괄하는 위치에 있으면서도 정치 글에 반발한다는 이유로 지난 9월 26일 이후 주요 회의에 참석도 하지 못하는 등 업무에서 사실상 배제됐다. 김 전 과장은 2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 전 단장의 정치 글 강조에 반발한 것 때문에 견제를 받아왔다"며 "9월 26일부터는 이 전 단장을 만날 수도 없어 면전에서 모욕하는 말을 할 기회조차 없었는데 상관모독죄로 고소당한 것은 부당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심리전단의 정치 글 사건과 관련해 국방부 조사본부의 수사를 받고 오는 부하들에게 "당신들이 무슨 죄가 있느냐. 시킨 사람들이 잘못이지"라며 부하직원에게 책임을 전가하려는 행태에 대해 비판적인 말은 했다고 인정했다. 특히 이 전 단장과 함께 정치 글 작성을 독려해온 박 모 서기관은 징계대상에서 빠지고, 이 전 단장의 지시를 어쩔 수 없이 이행한 요원들이 기소되는 것에 대해 불만도 표출했다고 했다. 김 전 과장에 따르면 정치 글 작성에 대한 평가는 인사고과와 상벌에도 반영됐다. 이 전 단장이 부임한 뒤 6명의 요원들이 교체돼 그에게 정면으로 문제제기할 수 있는 분위기도 아니었다고 한다. 이와 함께 심리전단 요원 100여명 가운데 70∼80여명이 정치 글을 올린 것으로 전해졌다. 군 소식통은 "국방부 조사본부는 2010년 국군사이버사령부 창설 이후부터 근무한 심리전단 요원 100여명을 수사했는데 이 중 정치관여죄를 적용할 수 있는 위법성 있는 글을 올리지 않은 요원은 20∼30명 정도"라고 말했다. 하지만 국방부 조사본부는 정치 글을 50회 이상 작성한 요원 10명만 우선 형사입건해 '축소수사'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 전 단장은 사이버심리전단 요원들에게 정치 글 작성을 지시한 혐의로 군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으며, 지난 19일 직위해제됐다. 옥 사령관은 정치 글이 자신과 이 전 단장의 작품이라는 주장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또 "김 전 과장이 모욕을 했으니까 고소된 것으로 알고 있다. (모욕할 때) 다른 사람들도 있었던 것 같다"고 주장했다. 국민일보가 이 전 단장과 여러 차례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저작권자 ⓒ 서울의 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국방부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