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리선권 “엄중 사태 해결하라..차후 남북 관계, 남측에 달렸다”
南유감에 北재반박…정상회담 20일만에 남북관계 '출렁'
서울의소리 | 입력 : 2018/05/18 [00:47]
북한이 남북 고위급 회담을 무기한 연기한 지 하루 만에 다시 한·미 군사훈련을 비난하는 입장을 내놨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이 "차후 북남관계의 방향은 전적으로 남조선 당국의 행동 여하에 달려있다"고 말했다고 17일 저녁 보도했다.

© JTBC
|
|
이선권 위원장은 "고위급 회담을 중지시킨 엄중한 사태가 해결되지 않는 한, 남조선의 현 정권과 다시 마주앉는 일은 쉽게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리 정부가 북측에 유감 표명과 함께 회담에 조속히 응할 것을 촉구하는 통지문을 보낸 것과 관련해 그는 “남조선당국은 우리가 취한 조치의 의미를 깊이 새겨보고 필요한 수습 대책을 세우는 대신 현재까지 터무니없는 ‘유감’과 ‘촉구’ 따위나 운운하면서 상식 이하로 놀아대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남조선 당국이 우리를 언제 쏟아질지 모를 불소나기 밑에 태평스레 앉아 말 잡담이나 나누고 자기 신변을 직접 위협하는 상대도 분간하지 못한 채 무작정 반기는 그런 비정상적인 실체로 여겼다면 그보다 더 어리석은 오판과 몽상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회담 무산의 원인인 침략전쟁 연습의 타당성 여부를 논하기 위해서라도 회담을 열어야 한다는 남조선 당국의 괴이쩍은 논리는 조선반도(한반도)의 평화와 화해의 흐름을 가로막는 장애물들을 제거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든 북침전쟁연습을 합리화하고 역겨운 비방 중상을 지속시켜보려는 철면피와 파렴치의 극치”라고 주장했다.
앞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이날 오전 7시부터 1시간 가량 열린 NSC 상임위에선 북한이 남북 고위급 회담 연기를 통보한 것과 관련한 대책 논의 결과 고위급 회담의 조속한 개최를 위해 북한과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위원들은 다음달 12일로 예정된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여러 채널을 통해 한미, 남북 간 입장조율에 나서기로 했다. 이와 함께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참관, 6.15공동행사 준비 등 판문점 선언 이행 작업을 차질 없이 진행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오는 22일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우리가 파악하는 북한의 입장과 태도를 충분히 전달한 다음 북한에도 미국의 입장과 견해를 충분히 전달해 접점을 넓혀 나가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취하겠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의 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북한 관련기사목록
- 태영호 "제주4.3은 北 소행 및 김구 北에 이용 당함 주장 변함 없다"
- 보수언론 "'이게 나라냐' 구호는 北 지령"..네티즌 "국힘 사용문구"
- "北 드론, 용산 침범" 野주장 사실 밝혀지자..대통령실과 與 "北과 내통 의심된다"
- 尹 “있는 드론부대 또 창설하라” 모순된 명령 받아들인 軍 “또 창설하겠다”
- 尹, 전시에도 만찬은 Yes, NSC는 No!..尹 “존재하는 드론부대 창설 앞당기겠다(?)”
- 北,우리 영공 7시간 농락..尹, '티타임'만 NSC 열지도 않아
- 北에서도 "대장동 게이트는 국민의힘 게이트(?)"
- 北리선권 '목구멍 냉면 발언' 안해…“뭘 들고 오셔야지“ 언급
- 북한에 고속도로 2천2백km 건설하면 남북 일자리 130만개 창촐
- 4조원에서 시작해 멀리는 7천조원까지...북한 지하자원 향한 첫 발
- [포토 뉴스] 베일 벗은 북한 집단체조 '빛나는 조국'
- ICBM 없는 북한 열병식...미국에 대화 의지 분명히 해
- 北 노동신문 “미국은 남북관계 발전 방해말고 초대국 여유 보여라“
- 청와대 “북한산 석탄 밀반입 논란 美클레임 전혀 없는데, 언론의 부정적 보도 이해 안돼”
- 북한 ”일본, 과거 덮고 미래로 갈 수 없다” 과거청산 촉구
- 북한 핵실험장 폐기 취재 외신, 풍계리로…첫 라이브 방송 시작
- 한국 기자 제외한 외신기자단,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참관차 北 원산행
- 홍익표 ”정부, 북한과 여러채널로 소통…큰 흐름이 깨지지는 않을 것”
- 김정은, 43일만에 시진핑과 회담...“비핵화 실현은 확고한 입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