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윤재식 기자] 전국 17개 시도교육청가운데 ‘참사’와 ‘희생자’ 용어를 일관되게 쓰는 곳은 전북교육청 단 한 곳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 이태원과 세월호 관련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용어 사용 현황 © 강득구 의원실 제공
|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은 8일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근거로 전국 대부분 교육청에서는 ‘참사’가 아닌 ‘사고’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17개 시도교육청 중 서울, 충북, 경북, 제주 4곳은 ‘참사’와 ‘사고’를 혼합해서 사용했고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남, 전남, 경남 12곳은 오롯이 ‘사고’라는 명칭을 고집했다.
오직 전북 교육청만이 유일하게 참사, 희생자라는 용어를 단독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앞서 지난달 벌어진 이태원 대참사 이후 행정안전부는 광역지자체에 합동분향소 설치하도록 하면서 이태원 참사에서 희생당한 희생자들을 ‘이태원 사고 사망자’라는 용어를 사용하라 지침을 내려 논란을 일으켰었다.
당시 야권과 시민단체 등에서는 이런 정부지침이 정부가 참사의 책임을 회피하고 축소하려는 의도라는 비판적 목소리가 나오며 반발하자 지난 7일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고나리본부장은 뒤늦게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브리핑에서 이에 대해 “초기에 ‘이태원 사고’라고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초기에 여러 가지 상황이 정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기관간의 통일적인 용어 사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서였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이어 “지금 여러 가지 다른 표현을 쓰고 있는데 저희가 새로 공통적인 용어 사용을 정할지 아니면 지금처럼 자유롭게 다른 표현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게 좋은지는 폭넓게 검토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강 의원은 “세월호 사건 당시에도 주로 ‘사고’로 사용하다가 ‘참사’로 용어를 나중에서야 바꿨다”면서 “국가 애도기간으로 설정한 상황에서, 국가 차원의 용어 통일에 이렇게 혼선이 있는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교육적으로도 국가와 미래를 위해 중앙정부와 시도교육청이 모두 책임 있는 용어를 통일해서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