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로고

유족들 스스로 밝힌 희생자명단 공개가 압수수색 대상인가?

윤석열 검찰공화국이 몰락으로 향하는 시발점이 되고야 말 것

서울의소리 | 기사입력 2023/01/26 [16:51]

유족들 스스로 밝힌 희생자명단 공개가 압수수색 대상인가?

윤석열 검찰공화국이 몰락으로 향하는 시발점이 되고야 말 것

서울의소리 | 입력 : 2023/01/26 [16:51]

  © 서울의소리

 

지난 3일, 경찰이 이태원참사 희생자명단 유출로 서울시청을 압수수색한데 이어, 지난해 11월 14일 희생자 명단을 전격적으로 공개한 바 있는 시민언론 민들레에 대한 강제 압수수색을 집행해, 윤석열 검찰공화국의 언론탄압이라는 국민들의 질타가 빗발치고 있다.

 

참사 당시, 당국은 참사사태를 축소하느라 급급했던 나머지, 일방적으로 희생자들의 주검과 부상자들을 수도권 일대 병원에 분산시켜, 유족들은 슬퍼할 겨를도 없이 희생자들의 생사는 물론, 주검을 찾기 위해 밤새 험한 밤길을 헤매고 다녀야 했다.

 

더욱이 사이비 주술사 천공의 하달로 급조된 정부분향소에는 희생자들의 영정과 이름 석 자 조차 허락되지 않았음은 물론, 정부의 대응부실로 억울하게 희생된 참사 희생자들을 사고 사망자라 폄하함으로써, 희생자와 유족들을 두 번 죽이는 천인공노할 만행 또한 서슴없이 자행했다.

 

결국, 영정도 이름도 없는 전대미문의 사이비 어용분향소를 보다 못한 재야언론들은 최소한 참사 희생자들의 이름 석 자라도 찾아주기 위해 동분서주해야 했으며, 마침내 시민언론 민들레가 어렵사리 희생자들의 명단을 입수해 공개하기에 이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석열 검찰공화국이 국내언론의 희생자 명단 공개를 범죄로 규정하고 언론탄압의 빌미로 악용하고 있는 이유는 단 하나였다. 바로 수천에 달하는 유족들의 합의체를 사전에 차단함과 동시에, 초대형 참사사태를 축소은폐하기 위함이었다.

 

이렇듯 이태원 참사직후 그 애달프기 그지없는 희생자들의 얼굴도, 몇 조각 안 되는 이름조차도 무참히 삭제되어야 했다. 하지만 정부의 부실대응에 반발한 유족들이 연대하면서, 참사 후 47일이 지난 연후에야, 마침내 빼앗긴 희생자들의 얼굴과 이름을 되돌려 준 희생자합동분향소가 마련되었다.

 

유족들은 그제야 제대로 격식을 갖춘 분향소를 바라보며 오열했고, 분향소를 바라보는 시민들 또한 통탄해 마지않을 수 없었다. 사고 직후 대통령을 비롯한 여당인사들의 입에서 튀어나온 말이라고는 사과가 아닌 천인공노할 망언들이었고, 참사 수습보다는 책임회피가 우선이었기에, 유족들은 할 말을 잃고 망연자실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국민들이 크게 분노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참사의 주요원인 중 하나인 용산 이전을 주도하고 윤석열의 정신적 지주로 알려진 사이비 천공이 비통하고 억울한 희생자들의 참혹한 희생을 재물삼아, 몰락하는 윤석열 정권의 기사회생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천인공노할 망언이었다.

 

이렇듯 연이은 정부여당의 책임회피와 악성여론공작을 참다못한 유족들은 하나 둘씩 연대하기 시작했으며, 희생자 명단 공개를 범법으로 몰아세우는 간악한 정부여당의 정치공작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유족들은 유가족협의회를 결성하고 희생자들의 얼굴과 이름을 되찾은 분향소를 마련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이미 유족들에 의해 희생자들의 얼굴과 이름이 공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참사 초기 명단 공개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언론탄압의 빌미로 삼는다는 것은 반민주적인 검찰 독재로 가는 민주주의 헌정 위반임과 동시에, 역사적으로 윤석열 검찰공화국이 몰락으로 향하는 시발점이 되고야 말 것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PHOTO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