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이재명 법카 의혹' 경기도 14번째 압색..野 "민심이반 조짐에 국면전환 쇼"김동연 "대통령과 검찰은 공정한가? 국민 무서운 줄 알아야..총선 앞두고 野 대표 겨냥"
|
수원지검 공공수사부(김동희 부장검사) 4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와 의정부시에 있는 경기도청 남부청사와 북부청사 등에 검사와 수사관 30여 명을 보내 강제수사에 돌입한 모습.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관련한 법인카드 유용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9개월여 만에 경기도에 대해 대규모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영장에는 이재명 대표가 업무상 배임 혐의의 피의자로 적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수원지검 공공수사부(김동희 부장검사)는 4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와 의정부시에 있는 경기도청 남부청사와 북부청사 등에 검사와 수사관 30여명을 보내 관련 자료를 확보 하고 강제수사에 돌입했다. 검찰은 최근 경기도청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 청구가 법원에서 기각된 이후 영장을 재청구, 법원으로부터 발부받았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날 검찰의 경기도청 압수수색에 대해 "명백한 과잉수사, 괴롭히기식 수사, 불공정한 정치수사"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김 지사는 이날 오후 경기도청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대단히 불쾌하다. 도를 넘고 무도하고 형평에 어긋하는 짓은 대한민국 검찰이 할 일이 아니다"라고 쏘아 붙였다.
아울러 "앞서 경기도청에 대해 14번, 54일간 약 7만 건에 대해 압수수색했다. 한번은 장기간 상주도 했다. 이번 법인카드와 관련해서도 취임한 이후에 작년 10월 2번, 오늘까지 3번이다. 수사관이 40명. 36명은 본청에, 4명은 북부청에서 조사한다. 대상이 비서실, 총무과, 도의회 3군데로 특정했고, 공무원만 23명을 특정했다. 기간도 이번주 금요일까지 장기간이다"라고 검찰의 끈질긴 수사를 지적했다.
나아가 "이번 건은 취임하기 훨씬 전 일이고, 컴퓨터도 취임하면서 새로 구입한 컴퓨터다. 비서실 컴퓨터도 새 컴퓨터고, 더욱이 (경기도청은) 지난해 5월 신청사로 이전했다. 무슨 관계가 있다는 건가"라고 따져 물었다.
김 지사는 윤석열 대통령과 검찰을 향해 "총선을 불과 몇개월 앞두고 야당 대표를 겨냥한 정치적 목적이 있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라며 "이게 대통령이 말하는 공정과 법치인가. 지금 검찰은, 대통령은 공정한가. 국민들이 두 눈 뜨고 있다. 국민 무서운 줄 알아야 한다"라고 경고했다.
민주당은 이날 검찰이 경기도청을 압수수색한 것을 두고 "정권에 대한 민심 이반과 '검찰 리스크'를 동시에 덮기 위한 국면전환용 쇼"라고 밝혔다.
민주당 검찰독재정치탄압대책위원회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부산 엑스포 유치 실패, 김건희 여사 '디올백' 논란 등으로 윤석열 정권에 대한 민심이반 조짐이 보이자 정치검찰이 또 한 번 구원투수를 자처하고 나섰다"라고 지적했다.
대책위는 "검찰은 지난해 9~10월 '바이든-날리면' 비속어 논란이 이어지며 대통령 지지율이 24%까지 하락했을 시점에 초유의 야당 당사 압수수색을 강행했다"라며 이렇게 밝혔다.
아울러 "부산 엑스포 유치 실패와 김건희 여사 '디올백' 논란은 물론 이정섭 검사 비위의혹, '고위검사 청계산 유원지 소고기 파티' 등 검찰 입장에서도 국민의 눈과 귀를 가려야할 논란이 반복해 터져 나오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검찰의 막강한 수사권이 대통령 지지율 떨어질 때마다 야당 수사로 물타기 하라고 부여된 건가"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양치기 소년의 거짓말도 세 번이면 아무도 믿지 않는다. 이제 그만 이재명 대표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한다"라며 "검찰이 대통령 일가가 친 사고 수습하러 다니는 '뒤처리 전담반'이 아님을 명심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