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출신 황석영 소설가 "채상병 사건 국민 신뢰 져버려..尹 즉각 사임해야"해병 출신 지식인·종교인 '채상병 특검' 촉구 성명 동참
|
![]() |
해병대 출신 소설가 황석영 작가가 지난 25일 해병대 배지를 달고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해병대 채상병 순직사건 특검을 촉구하는 문화·종교계 인사 성명 발표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는 이제까지 정부를 이끌어 오며 이루 헤아릴 수도 없는 실정과 무능을 보여준 윤석열 대통령의 즉각 사임을 요구하며, 이후 특검을 위해 상정하고 거부당한 사건들을 차례로 규명해 이를 저지른 자들은 물론 동조하고 방임했던 모든 관계자의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다.”
문단의 원로 소설가 황석영 작가는 지난 25일 채 해병 순직사건 및 수사외압과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의 실정과 무능을 질타하면서 즉각 사임을 촉구했다. 황 작가는 최근 장편소설 ‘철도원 삼대’로 세계적 권위의 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 최종 후보에 올라 있다.
해병 180기 출신의 황 작가는 이날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해병대원 순직사건 수사외압 의혹의 진상을 규명할 이른바 ‘채상병 특검법’(아래 특검법) 처리를 촉구하는 해병대 출신 지식인·종교인 성명 발표 자리에 나와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날 왼쪽 옷깃에 해병대 배지를 달고 나온 황 작가는 ”작년 여름 전국적인 폭우 사고가 일어나자 구조 수색에 나선 해병대 채수근 해병이 목숨을 잃었고, 나중에 밝혀진 바에 의하면 이는 급류의 한 가운데서 구명조끼나 기초적인 안전 장구도 갖추지 않은 무모한 수색 작업 중에 일어난 사고였음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수사를 맡은 박정훈 대령은 진상 규명으로 채 해병의 죽음이 헛되거나 억울한 일이 되지 않도록 현장 지휘관에서 사단장에 이르기까지 책임과 잘못을 묻게 될 조사를 철저히 해 경찰에 이첩했지만, 대통령이 국방부 장관에게 ‘이런 일로 사단장까지 처벌하게 되면 대한민국에서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는가’라는 격노의 지적이 있었고, 이는 국군통수권자인 대통령이 직접 수사에 개입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명백한 사례로 기록되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의로운 수사로 판결하고 논공행상해야 할 정부는 오히려 수사에 대한 개입과 억압을 넘어서 수사단장 박정훈 대령을 항명 수괴 죄로 몰아세웠다”며 ”이후 윤 대통령의 대통령실은 사건의 은폐와 왜곡을 위해 각 부서의 관계자들을 특진 또는 공천 또는 해외 부임 등으로 무리한 임시방편의 수로 사건을 키워왔다”고 질타했다.
황 작가는 “정부와 국민 간의 신뢰를 저버린 대통령이나 일선 지휘관은 마땅한 처벌을 받아야 하고 정치 사회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며 윤 대통령의 즉각 사임을 촉구했다.
주로 사회성이 짙은 작품들을 발표한 황 작가는 대표작으로 중단편 <삼포 가는 길>, <객지>, <몰개월의 새> 등이 있으며, 장편 <장길산> , <무기의 그늘>, <오래된 정원> <바리데기>, <개밥바라기 별>, <해질 무렵> 등이 있다. 지난 2004년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올해의 예술상을, 2018년 <해질 무렵>으로 프랑스 기메박물관에서 수여하는 에밀 기메 아시아 문학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