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비무장?...국회 점거 위해 계엄군 1500명→실탄만 '9천발'윤석열 12·12 담화 "실무장 하지 않은 300명 미만 투입..경고성"
|
MB C갈무리
12·3 내란수괴 피의자 윤석열 대통령의 일상적인 대국민 거짓말이 또 확인됐다. 계엄령으로 국민적 공분이 들끓고 탄핵 위기에 직면한 대통령은 12·12 담화에서 "질서 유지를 위해 소수 병력을 잠시 투입한 것"이라며 "무장도 하지 않았고, 안전 유지에 최선을 다하도록 지시했다"라고 강변했다.
17일 MBC에 따르면 국회에 투입됐던 계엄군이 최소 1만 4천여 발의 탄약을 불출해갔던 것으로 확인됐다. 공포탄을 빼고도 실탄만 9천 발이 넘었다. 지난 12월 3일,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직후인 밤 11시 40분,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1경비단 136명이 국회의사당에 투입됐다.
소총과 권총 185정, 저격총 1정, 드론을 무력화시키는 '드론 재밍건' 1정까지 총 187정의 무기로 무장한 상태였다. 이들이 불출한 실탄은 소총탄과 권총탄을 합쳐 4천85발, 공포탄 약 3천 발이었고, 24분 뒤 이번엔 소총과 권총은 84정, 저격총 4정, 가까운 거리에서 쓸 수 있는 테이저건 10정과 삼단봉 65개로 무장한 수방사 군사경찰단 75명이 국회에 들어왔다. 탄약 수는, 소총탄과 권총탄을 합쳐 1천 발이 넘었다.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도 기관단총과 권총, 실탄 약 4천 발과 공포탄 약 2천 발을 갖고 있었다. 윤 대통령은 계엄 당시 "비무장한 소수병력을 잠시 투입했을 뿐"이라고 주장해 왔다. 계엄군이 확인된 것만 최소 9천 발 넘는 실탄을 불출했는데도, 국방부는 국회에서 "실탄지급은 없었다"라고 변명해 왔다.
MBC는 "제1공수특전여단, 특수작전항공단 등 계엄에 투입된 다른 군 병력을 합치면 무기와 탄약 수는 더 늘어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명백하게 사실상 유혈사태까지 의도를 가지고 계엄군을 투입했다라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실탄을 통에 담아 가져갔지만, 병사 개인에게 실탄을 '지급'한 건 아니"라고 변명했고 수방사는 뒤늦게 "총기를 포함한 휴대품을 갖고 국회로 출동했지만, 탄약은 차량 안에 둔 채 국회 울타리 안으로 진입했다"라고 해명했다.
윤 대통령은 300명 미만의 소수 병력이 투입됐다고 했지만, 내란 사태를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계엄에 가담한 혐의를 받은 전현직 정보 사령관들을 긴급 체포해 계엄이 발령됐을 당시 동원된 군인이 "1천5백 명에 달하는 걸로 확인됐다"라고 밝혔다.
국방부도 16일 계엄군에 투입된 병력이 1500명 수준이라고 밝혔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계엄군에 동원된 병력 규모를 묻는 질문에 "국방부가 현재까지 확인한 인원도 약 1500여 명 수준으로 알고 있다"라며 "현재 국방부 차원에서 현장 확인을 통해 정확한 인원을 확인하고 있다"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