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바보조일[바로보는 조선일보] - 55. 박정훈 대령 무죄와 조선일보의 비겁

이득우 조선일보 폐간 시민실천단 단장/언소주 정책위원 | 기사입력 2025/01/10 [18:39]

바보조일[바로보는 조선일보] - 55. 박정훈 대령 무죄와 조선일보의 비겁

이득우 조선일보 폐간 시민실천단 단장/언소주 정책위원 | 입력 : 2025/01/10 [18:39]

1월 9일 박정훈 대령이 무죄라는 역사적인 판결이 나왔다. 그것도 군사법원에서. 지난 2023년 7월 19일 채수근 해병이 억울한 죽음을 맞았다. 대한민국이 부여한 임무대로 이 사건의 진상을 밝히려던 박정훈 대령은 항명죄로 법정 최고형인 3년을 구형받았다. 애초에는 저들은 박정훈 대령에게 집단항명수괴죄라는 억지를 부리기도 했다. 항명죄나 집단항명수괴죄는 전시에 사형까지 선고할 수 있는 중범죄다.

 

이번 사건의 판결은 명령이나 지시가 형식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너무도 당연하지만 부당한 명령을 따르지 않는 것은 항명이 아니라는 판결이다. 형식을 갖추지 못한 윤석열의 격노는 명령도 지시도 될 수 없다는 뜻이다. 또한 형식을 갖췄다 하더라도 부당하다면 따르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는 말이다. 격노는 명령이 될 수 없고 명령이 되더라도 부당하기에 따르지 말아야 한다. 이번 윤석열 일당의 내란 시도와 아주 닮았다. 이제 무고한 군인에게 죄를 뒤집어씌우려던 자들에게 죄를 물어야 할 때다.

 

묘하게도 박정훈 대령 사건이 윤석열 정권의 허상과 균열을 동시에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시스템에 따라 처리하면 그만인 사안을 마치 군대 더 나아가 국가의 존망이 걸린 사건인 양 덩달아 호들갑을 떨어댄 집단이 바로 조선일보다. 조선일보는 채해병 사망 사건과 관련된 국회 활동을 군에게 모욕을 주는 사안으로 몰아갔다. 억울한 채해병의 죽음에 대한 진상을 밝히는 것이 군의 명예를 드높이는 것임에도 이에 대한 노력을 군의 사기를 꺾는 행위로 선동하던 집단이 조선일보였다.

 

▲ 출처=조선일보  © 서울의소리

 

양상훈 주필이 쓴 2024년 5월 칼럼이 그중 눈에 띈다. ‘‘이러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나’엔 공감한다‘는 내용이었다. ‘이러면‘의 실체에는 관심이 없고 진상 파악을 방해하려는 윤석열의 발언을 인용해 두둔한 셈이다. 당시 김건희 관련설이 파다했고 관계자들의 증언도 이어졌다. 양주필은 논점을 흐려 사단장을 구하려는 데서 그치지 않고 ’군용 중대재해법‘이란 억지 조어까지 만들어냈다. 군 조직의 핵심은 일반 병사이며 그들의 생명이 가장 소중하다는 너무나 평범한 사실을 묻어버리려 했다.

 

▲ 출처=조선일보  © 서울의소리

 

’군복을 모욕하지 말라‘는 7월 2일 자 기고가 별들의 모임인 성우회장의 명의로 등장했다. 그의 글을 읽다 보면 처음부터 마음은 콩밭에 가 있었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청문회에서 모욕당하고 희화화되었다는 군 장성들만 안쓰러웠던 것이다. 국가와 국민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초개와 같이 던져야 한다고도 했다. 내란 주범 김용현이 불법 수사로 군을 모욕하지 말라고 했다는 말이 겹친다. 윤석열의 내란 시도로 대한민국이 혼란에 처한 지금 그가 다시 나서주길 바란다. 그리고 윤석열과 내란범 일당에게 정녕 국가와 국민을 위했는지를 물어 주었으면 좋겠다.

 

조선일보는 채해병 순직 1주기인 2024년 7월 19일에 채해병이란 말을 단 한 번도 쓰지 않았다. 당시 국회에서는 채해병 특검법이 논란이 계속되고 있었다. 당일에는 채해병의 억울한 죽음을 밝히라는 시민들의 요구도 빗발쳤다. 하지만 군의 사기를 걱정하고 국가의 안보를 염려한다는 조선일보는 그저 모르쇠로 일관했다. 차라리 왜곡된 내용으로 국민들을 현혹하는 것보다 낫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자신들의 잇속만을 찾아 자발적인 침묵을 선택하는 언론은 스스로 존재 이유를 부정하고 있다는 엄연한 사실을 기억하기 바란다.

 

윤석열의 내란과 외환 시도로 인하여 대한민국이 극도의 혼란에 처해 있다. 다행히 지각 있는 군인들이 있어 내란은 일단 실패로 끝났다. 외환유치죄를 떠올리게 하는 끔찍한 시도도 있었음이 드러나고 있다. 군인은 내란이나 외환에서 최일선에 설 수밖에 없다. 대통령 경호실이 부당하게 법 집행을 막아설 때도 군을 동원했다고 알려졌다. 상상할 수 없는 군인에 대한 모욕이 자행되고 있는 것이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개죽음까지 강요되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음에도 조선일보는 침묵하고 있다.

 

2025년 1월 9일은 대한민국 역사에 뜻깊은 날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박정훈 대령에 대한 무죄 선고는 내란 세력 윤석열과 김건희 일당 등에게 내리는 중죄 선고다. 지금도 윤석열은 일부 군인과 극우 광신자들을 선동하여 대한민국을 구렁텅이에 몰아넣고 있다. 박정훈 대령의 정당한 저항이 윤석열 정권에 균열을 가져왔듯이 박정훈 대령에 대한 무죄 선고가 윤석열 일당의 종말을 앞당길 것이다. 혹한 속에서 민주주의를 지켜냈고 지금도 굳건히 지키고 있는 시민들이 박정훈 대령의 무죄를 이끌어냈다. 이것이 바로 역사의 순리이고 사필귀정이다. 

 

조선일보는 거짓 안보와 평화를 짖어대던 집단이니 그러리라 예측은 했다. 박정훈 대령의 무죄 선고 소식을 1월 10일 자 10면에 배치했다. 참으로 비겁하다. 박정훈 대령 사건은 윤석열 정권의 본질과 폭압성을 폭로한 최초의 발화점이었다. 조선일보는 윤석열 집단의 탄생을 위해 물불을 가리지 않았다. 박대령의 무죄 소식을 의도적으로 소홀히 하는 이유는 파렴치한 집단의 비루한 생존을 위해 어쩌면 당연하다. 대신 조선일보는 그 더러운 입에 국가 안보나 군인의 명예나 사기를 올리지 말라.

 

그리하여 다시 조선일보는 폐간만이 답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PHOTO
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