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국제정세]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강진 여파

중국, 스코틀랜드 독립투표 운동에 떨었다

서울의소리 | 기사입력 2014/09/26 [04:57]

[국제정세]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강진 여파

중국, 스코틀랜드 독립투표 운동에 떨었다

서울의소리 | 입력 : 2014/09/26 [04:57]

 

 
 

최근 미주사회는 물론 전세계 국가들의 크나큰 관심을 불러왔던 스코틀랜드 독립 여부를 결정짓는 투표가 비록 부결되었으나 그 여진을 계속되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 다시 강진으로 흔들릴지는 미지수다.

 

이번 스코틀랜드 독립운동은 유럽에서 아프리카까지 세계 전역에서 분리독립 운동을 주창하는 진영을 자극했다. 중국을 포함한 지역 주권을 둘러싼 논쟁이 있는 곳마다 분리주의 단체들은 분쟁을 해소하는 본보기로 스코틀랜드 분리 독립 주민투표를 들 것이다. 우선 스코틀랜드 투표 결과에  중국도 은근히 떨고 있으며, 당장 스페인 속국 카탈루냐만큼 촉각을 곤두세우는 지역은 없을지도 모른다.

 

스페인 북부의 부유한 지역인 카탈루냐는 올 11월에 비 강제 주민투표를 실시하기 위해 준비 작업을 벌이고 있다. 스페인 중앙정부는 카탈루냐가 분리독립 주민 투표에 관한 세 법률을 제정하면 헌법재판소에 위헌 소송을 낼 것이라고 밝혔다. 카탈루냐 분리독립을 찬성하는 180만 명은 지난주 바르셀로나에서 가두시위를 벌였다. 시위에 참가한 로사리오 보라스는 “스코틀랜드가 우리의 투쟁에 큰 영감을 준다”고 말했다. 스코틀랜드 분리독립 투표가 중국에 미치는 영향을 짚어 보았다.  <데이빗 김 객원기자>

 

중국 정부가 지난 18일 시행된 스코틀랜드 독립 주민투표에 대해 우려와 긴장감 속에 예의주시 하고 있다가 ‘부결’이 되자 내심 안도하는 분위기다. 이번 투표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느냐에 따라 자국 내 소수민족 문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일단 중국 정부는 이번 투표가 타국의 내정 문제라는 점을 들어 공식적인 논평은 자제하고 있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16일 정례브리핑에서 “스코틀랜드 주민투표에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은 무엇이며 독립 투표가 가결되는 것을 우려하느냐”는 질문에 “스코틀랜드 주민 투표는 영국의 내정이기 때문에 우리는 논평하지 않겠다”고 짧게 답변했다. 그럼에도 중국 내부에서는 이번 투표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내심 부결되기를 바라는 분위기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겉으로는 태연, 속으로는 긴장

 

이와 관련,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가 지난 6월 영국 방문 당시 스코틀랜드 분리독립에 반대하는 뜻을 분명히 했다는 영국 언론의 보도도 나온 바 있다. 중국 정부 입장에서는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와 시짱(西藏.티베트)자치구 등에서의 소수민족들의 분리 독립 움직임은 가장 민감하고 골치 아픈 현안으로 꼽힌다.

 

또 ‘하나의 중국’ 정책을 견지 하는 중국은 ‘대만의 독립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런 상황을 감안하면 이번에 스코틀랜드가 주민투표를 통해 영국 ‘독립’ 찬성의 결과가 되었다면 신장, 티베트 등의 분리•독립주의자들의 활동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중국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앞서 중국은 올해 초 우크라이나 크림자치공화국이 주민투표로 러시아로의 귀속을 결정할 때도 러시아의 입장을 지지하지 못한 채 어정쩡한 태도로 일관했었다. 이를 두고 중국이 러시아의 손을 들어 크림의 분리독립 주민투표를 지지할 경우 앞으로 티베트, 신장 등의 분리독립 주민투표를 막을 명분이 없어진다는 점을 의식한 행보라는 분석이 나왔다.

 

스코틀랜드 분리독립 주민투표는 영국 연방 해체를 촉발시킬 가능성으로 특별한 주목을 받았지만, 유럽 곳곳에서 진행 중인 분리독립 움직임도 새삼 주목을 받게 됐다. 현재 유럽에서 자치정부 수립을 꿈꾸고 있는 지역은 스페인의 카탈루냐와 바스크, 이탈리아의 베네토 주, 남(南)티롤, 덴마크의 파로에 섬, 프랑스 코르시카, 벨기에 플랑드르, 독일 바바리아 등 8곳이다.

 

스페인에서 분리독립을 원하는 카탈루나 주민들은 이번 스코틀랜드 투표 결과에 실망을 하면서도 독립운동의 끈을 늦추지 않고 있다. 당장 스페인 북동부에 있는 카탈루냐 지역은 오는 11월 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독립 주민 투표를 강행하기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EU, 반갑지 않은 분리독립운동

 

또한 이번에 스코틀랜드 독립 운동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적지 않은 카탈루냐 주민들이 스코틀랜드를 찾았다. 그 중에는 45년 된 비좁은 세아트 세단을 타고 스코틀랜드까지 온 카탈루냐 소방관 3명도 있었다. 카탈루냐 사람들만 스코틀랜드에 온 것이 아니다. 이탈리아의 사르디니아 분리주의자들도 ‘스코틀랜드 공식’을 익히기 위해 먼 길을 마다하지 않았다. 스페인 바스크와 벨기에 플랑드르 등 분리독립 운동 세력의 힘이 약화된 지역도 스코틀랜드 투표 에 자극을 받아 다시금 분리주의가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탈리아 수상도시 베네치아로 잘 알려진 베네토 주 에서는 3월 실시된 온라인 조사에서 독립 지지율이 89%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분리주의자들에게는 자유를 향한 필사의 탈출이 다른 사람들에게는 한낱 골칫거리일 수 있다. 분리주의 운동이 힘을 얻으면 유럽 각국 정부뿐만 아니라 유럽연합(EU)에 새로운 복잡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스코틀랜드 이슈는, EU가 기존 회원국에서 새롭게 독립한 국가를 어떻게 대우할 것인가에 관해 선례를 남길 수 있다.

 

영국에 파견된 카탈루냐 상임대표였으며 스코틀랜드 국민당(SNP) 자문 위원으로 활동하는 하비에르 솔라노는 “투표가 가결 될 경우 EU는 내부적으로 확장될 것” 이라고 설명했다. 솔라노 대표는 EU가 순조롭게 스코틀랜드를 흡수할 것으로 보는 반면, EU 관계자들은 스코틀랜드 이슈를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검토할 것이라고 전했다.

 

마리아노 라호이 스페인 총리는 분리독립 움직임은 EU의 약점을 강타한 어뢰라고 표현했다. 라호이 총리는 EU는 유럽을 분리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통합하기 위해 창설됐기 때문에 기존 회원국에서 분리된 신생 독립국을 EU에서 받아들이는 것은 무척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영국연방 해체의 기폭제’가 될 가능성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았던 스코틀랜드 분리독립안을 두고 벌어진 주민투표가 부결됐다. ‘아슬아슬하다’는 사전 여론조사와 달리, 반대가 과반수를 넘고, 반대가 찬성보다 10.6% 포인트가 더 많은 ‘안정적 부결’이었다.

 


스코틀랜드의 역사는 외침에 대한 저항과 독립을 위한 노력으로 점철됐다.  스코틀랜드는 5세기경에 자신들의 왕국을 건설했지만 이후 계속된 외침에 시달리며 생존해온 저항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앵글로색슨족이 중심인 잉글랜드와 달리 스코틀랜드는 켈트족의 후손들이 주류를 이룬다.

 

영국과 병합된 지 307년이 지났지만 토속어 게일어를 비롯해 자신만의 전통문화와 관습을 유지하면서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해왔다. 켈트족은 기원전 600년 무렵 유럽에서 이주해 이베리아인을 몰아내고 영국 섬의 주인이 됐다. 하지만 43년 로마의 정복 이후 5세기까지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이후 6세기 무렵부터는 독일 지역에서 대거 이주해 온 앵글로색슨족이 지배 세력을 이루게 된다. 발트해 왕국들과 유럽대륙을 연결하는 해상 무역의 요지인 스코틀랜드는 5세기경에는 자신들의 왕국을 건설해 잦은 외침에 맞섰다.

 

스코틀랜드의 저항 정신은 전성기의 로마 제국의 침공도 막아낸 것으로 유명하다. 로마제국은 브리튼 섬 남부를 장악하고서 스코틀랜드까지 진격하지만 거센 저항에 막혀 끝내 스코틀랜드 땅을 정복하지 못했다.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는 남북으로 갈려 중세까지 수백 년간 치열한 갈등의 역사를 겪었다. 스코틀랜드의 독립항쟁을 그린 영화 ‘브레이브 하트’의 실제 주인공 윌리엄 월리스는 스코틀랜드 의 독립영웅이다.

 

그러나 월리스는 1298년 잉글랜드와의 폴커크 전투에서 포로로 잡혀 자유를 외치며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그러나 로버트 1세가 이끈 스코틀랜드는 1314년 6월 배넉번 전투에서 잉글랜드에 대승을 거두며 유럽의 주권국으로 인정받았다.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의 대립 관계는 1503년 스코틀랜드 제임스 4세 왕과 잉글랜드 헨리 7세의 딸 마거릿 튜더의 결혼으로 전기를 맞게 된다.

 

1603년 잉글랜드 여왕 엘리자베스 1세가 자식이 없이 사망하자 스코틀랜드 스튜어트 왕조의 제임스 6세가 잉글랜드 국왕 제임스 1세로 즉위하면서 연합왕국의 길을 걷게 됐다. 스코틀랜드는 앤 여왕 시기인 1707년 영국에 완전히 합병돼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이 형성됐다. 하지만 민족적 자부심이 강한 스코틀랜드는 영국과의 합병 이후로도 분리독립을 향한 열망을 간직해왔다.

 

1970년대 북해유전의 발견은 스코틀랜드 독립론에 불을 지피는 계기가 됐다. 마거릿 대처 총리 시절 이후 누적된 스코틀랜드인의 경제적 박탈감과 피해의식은 민족주의 정당인 스코틀랜드 국민당(SNP)에 대한 지지 확산으로 이어졌다.

 

선데이 저널 USA  데이빗 김 기자 http://www.sundayjournalusa.com/ 

  • 도배방지 이미지

선데이저널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PHOTO
1/193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