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강정 군관사 건립 주민설명회, 주민 반발로 개회도 못하고 무산

해군, 주민들에 '이거 못한다고 못짓나?' 비웃음, 뒷짐으로 일관 

정찬희 | 기사입력 2012/05/29 [21:26]

강정 군관사 건립 주민설명회, 주민 반발로 개회도 못하고 무산

해군, 주민들에 '이거 못한다고 못짓나?' 비웃음, 뒷짐으로 일관 

정찬희 | 입력 : 2012/05/29 [21:26]
▲   제주 민군복합항 군관사 건립사업 주민설명회      © 서울의소리

 
 
 
 
 
 
 
 
 
 
 
 
 
 
 
 
 
 
 
 
 
 
 
 

29일 제주 김정문화회관에서 해군에 의해 진행되려던 '제주 민군복합 군관사 건립사업 주민설명회'는 해당 주민인 강정주민들의 강력한 반발과 해군측의 무성의한 대응으로  개회도 못하고 무산되었다.

▲  내 땅 뺏어 해군 군관사를 짓는다고?  주민들이 울분에 목청을 높였다      © 서울의소리

 
 
 
 
 
 
 
 
 
 
 
 
 
 
 
 
 
 
 
 
 
 
 

 
주민도 모르는 주민설명회?
기자도 몰라서 못오는 설명회.. 해군의 요식행위 꼼수의혹 제기
 
이 날 설명회에 몰려간 강정 마을 주민들은 상당히 격앙된 상황이었는데, 마을 주민에 따르면 해군측이 마련한 이 설명회가 해당 이해당사자인 강정주민들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고, 지역신문의 공고를 통해 그 상황을 알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특히 이 날 설명회 직전에는 활동가 중 한명인 지인을 만나기 위해 우연히 당도해있던 본지 서울의소리 www.amn.kr 기자 외에 초청된 기자가 없었던 것도 '절차상의 요식행위'를 위한 해군의 꼼수가 아닌가 하는 의심을 더했다. 
 
▲  제주 민군 복합형 군관사 건설사업 주민설명회 자료     © 서울의소리

 
 
 
 
 
 
 
 
 
 
 
 
 
 
 
 
 
 
 
 
 
 
 

 
제주내에 기지건설이 진행되는 것만으로 전국적 이슈가 되었는데, 마을안에 2만8천 평이 넘는 군관사 지역을 정해 건립한다는 '강정은 명실공히 군사지역'으로 지정된다는 공식선포인데, 이런 엄청난 이슈에 기자들이 몰라서 못오는 것은 해군측이 그만큼 알리고 싶지 않아 알리지 않았다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했다.
 
상황이 심각해져 마을측에서 제주 지역 언론사 등에 연락하자 그제사 기자들이 정보를 알고 취재를 위해 찾아와 사진을 찍어갔다.
 
주민들의 울분의 원성에도 해군은 웃으며 뒷짐..
"설명회 못했다고 군관사 못짓나" 주민반대 관계없는 강행의지 노골적 표명

'주민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주민설명회'자체도 주민들의 원성을 샀지만, 더욱더 주민들을 분노케 한 것은 해군측의 무성의하고 고압적인 태도였다.
 

▲  생존권을 위해 삭발결의까지 한 여성 앞에서도 끝까지 웃음으로 일관 하는 해군    © 서울의소리
 
 
 

 
 
 
 
 
 
 
 
 
 
 
 
 
 
 
 
 
 
 
 

 
강정마을 여성위원장 등은 삭발까지 감행하며 '우리 마을 사수, 내 생존권 사수'를 거의 우는 듯한 목소리로 외쳤지만, 그런 항의에도 해군 관계자는 시종일관 미소를 잃지 않으며(?)빈정거리는 말투로 주민들에 대응해 원성을 샀다.
 
또한 본지 서울의소리 기자가 "주민들 말에 따르면 2007년도 해군측에서는 강제 토지수용이 없다 하였으나 실제 강제 수용이 일어났다고 들었는데 사실입니까?" 하고 사실 관계를 질문하자 위의 해군측 관계자는
"당신이 기자인지 뭔지는 모르겠지만, 기자에게는 대답할 이유도 없다. 정 궁금하면 공식적으로 취재를 요청하라" 라고 빈정거리며 사실 관계조차 확인시켜 주지 않았다.
 
주민들에 따르면 해군들은 강정마을 취재를 위해 찾아오는 다른 지역 기자들을 무시하거나 폭언을 행사하는 일이 왕왕 있었다고 한다. 일례로 미디어 충청 정재은 기자는 작년 해군에 1시간도 넘게 억류되어 폭언과 성희롱을 당하고 인권위에 진정하였던 사례가 있었다.  
 
또한 해군은 이 설명회가 주민측이 수용하지 않아 무산되어도 해당 이해당사자인 마을주민의 동의와 관계없이 군관사를 강행할 것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동영상 속 영상에 따르면
"오늘 설명회 이거 이렇게 하고서 언론에 주민설명회 했다고 내보내는 것 아니냐, 오늘 분명히 주민설명회는 주민 반대로 무산된 거다" 라는 주민들의 항의에
 
"이거 못한다고 군관사 아파트 못짓습니까?" 라며 주민설명회나 절차상 요건에 관계없이 해군은 사업을 강행할 것임을 노골적으로 암시하는 답을 했다.
 
현재 제주강정마을 해군기지 사업은 지난 국회에서 '설계오류' 탓에 올해 사업비용이 전액 삭감되었으나 이명박 정부에 의해 강행되고 있다.
 

▲   민군복합? 만약 관광페리가 들어와있으면 군함이 못들어오고 피해가야하나?      © 서울의소리

 
 
 
 
 
 
 
 
 
 
 
 
 
 
 
 
 
 
 
 
 
 
 
 
또한 외부에는 '안보 국책사업'으로 널리 홍보되고 있으나, 제주현지에서는 이승만 정부시절 파업참여자들을 용공분자로 몰아 어린이와 젖먹이까지 몰살시켰던 4.3 사건의 지역적 후유증으로 인해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제주 경제 효과' '군인관광객증대' 등 경제적 측면으로 설득되어지고 있는 모순된 사업이다.
 
때문에 막상 공사현장에는 안보관련 문구나 상징물은 하나도 찾아볼 수 없으며, 일명 '민군복합형 관광미항'이라는 타이틀의 타당성이 논쟁의 도마에 오르고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PHOTO
1/209